본문 바로가기
건강

보청기 지원금 최대 131만원까지 지원, 신청자격 및 신청방법 안내!

보청기를 구입하려고 하니 금액이 너무 비싸서 부담이 되셨죠? 보청기 지원금 신청 시 최대 131만 원까지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난청이 있다면 꼭 알아야 할 보청기 지원금 신청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확인해 주세요.

 

신청 자격 


정부지원 보조금 지급 대상은 청각장애로 등록된 모든 분들이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금액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와 건강보험가입자의 지원금액이 다릅니다. 5년에 한 번 1개의 보청기 금액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보청기 보조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분류 일반(건강보험) 차상위, 기초생활수급자
최대 지원금액 1,179,000원 (90% 지원) 1,310,000원(100% 지원)
구매 한달 후 999,000원 1,110,000원
구매 1년 후 연 45,000원 (4회, 총 18만원) 연 5만원(4회, 총 20만원)

(단. 19세 미만 청각장애 아동일 경우에는 최대 262만 원까지 정부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보청기지원금신청

 

<19세 미만 보청기 양쪽 최대 262만 원 지원 요건>
1. 19세 미만으로 청각 장애로 등록이 된 분
2. 양측 80db 미만의 난청이 있는 분
3. 양측 어음명료도 50% 이상인 분
4. 양측 순음청력역치 차이가 15db 이하
5. 양측 어음명료도가 차이가 20% 이하

 

청각 장애 등록


일반 이비인후과에는 검사장비가 없으므로 꼭 청각장애를 진단할 수 있는 검사 장비가 있는 이비인후과인지 확인 후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2~7일 간격으로 3번 정도 가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순음 및 어음 검사는 3번 받아야 하며 , 청성뇌간유발반응검사(ABR)를 1번 받아야 합니다. 

주민센터체 검사 자료를 제출하면 1~2달 후에 결과가 나옵니다. 장애가 될 경우에 심한 장애 또는 심하지 않은 장애의 진단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급수에 따른 보조금 차이는 없습니다. 

청각장애 검사 비용은 병원마다 다르지만 보통 15~30만 원 정도의 비용이 듭니다. 검사비용이 비싸지만 지원받을 수 있는 금액이 훨씬 크니 보청기 지원금 신청을 하시길 바랍니다. 

 

 

보청기 지원금 신청 방법 및 절차


건강보험 가입자과 기초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의 신청 방법과 절차는 아래와 같이 나뉩니다. 관련 서류는 보청기 판매점에서 문의하면 챙겨줍니다. 자세한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건강보험 가입자 기초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이비인후과에서 보장구 처방전 받기
보청기 구입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후 보청기 급여 신청서 작성 및 처방전 제출
1달 후 처방전 발급 받았던 병원에서 검수 확인서 발급
(주의! 음장검사를 하여 청력이 개선되었다는 결과가 포함되어야 지원금받을수 있음)
보청기 구입후 검수확인서 발급
국민건강보험공단데 보장구 급여비 지급 청구서 제출 주민센터에 청구서 제출
구매 1년후부터 사후점검(연1회, 총 4년) 3개월 후 사후점검

 

보청기 판매점 찾기

보청기는 가격이 비싼 만큼 잘 알아보고 구매를 해야 합니다. 병원에서 추천해 주는 판매점이라고 믿어서는 안 되며 좋은 제품이라며 너무 비싼 것을 추천하는 판매점도 주의해야 합니다. 오래 써야 하는 만큼 구매 후에도 관리를 받을 수 있는 가게를 찾아야 합니다. 아래에서 가까운 보청기 센터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보청기판매점찾기

 

반응형

댓글